남의 이야기를 듣기보다는 솟구치는 감정을 그대로 행동으로 표현하고 어떤 문제든지 폭력으로 해결하려는 아이가 있는 것입니다.
이런 아이는 남에게 피해를 주는 행동을 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싫어하고 또 소외를 당함으로써 더 난폭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.
**** 원인
· 심한 욕구 불만을 가지고 있으나 그 욕구를 해소할 방법을 찾지 못해 난폭한 행동을 하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.
난폭한 행동은 주위 사람의 관심을 끌기 위해 행해지기도 하고 자기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
난폭하게 행동하는 원인은 다양합니다. 갑자기 태어난 동생에게 부모의 사랑을 빼앗겼다는 생각이 들거나, 또 부모가 자기를 인정해 주지 않을 때 일어날 수 있습니다.
· 아이에게 열등감을 갖게 해서는 안 됩니다.
부모나 다른 식구들이 대화하는 중에 아이의 자존심을 건드리는 말을 아주 쉽게 내뱉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. 말을 하는 사람은 아무런 뜻 없이 했다 해도 아이는 자기의 단점을 들음으로써 심한 열등감을 갖게 됩니다. 이 때 아이는 다른 어떤 행동으로도 월등함을 느낄 수 없기 때문에 가장 쉬운 폭력의 형태를 취하게 되는 것입니다.
· 부모의 잦은 싸움이 아이의 불만을 가중시키고 여기에서 오는 불신감이 아이의 난폭한 행동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.
특히 부모가 가정에서 폭력을 휘두르는 모습을 아이에게 보여 주면 아이는 그것을 본받게 됩니다.
**** 부모님의 도움
· 아이의 문제 행동은 대부분 부모의 사랑 부족에서 오는 것입니다. 또 부모는 자녀에게 충분한 사랑을 주었다 하더라도 아이가 그것을 느끼지 못한다면 자신은 사랑받지 못하는 쓸모없는 인간이란 생각을 하게 되고, 그로 인해 난폭한 행동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. 이런 난폭한 행동을 했을 때 부모가 야단을 치게 되면 아이는 부모로부터 버림받았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.
이럴 때는 무엇보다 아이를 사랑하고 있다는 꾸준한 애정 표현이 절실하고 꼭 필요합니다.
· 아이가 부모의 관심이나 주의를 끌기 위해 난폭한 행동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
이 때 아이에게 꾸중을 하거나 벌을 주게 되면 부모의 관심을 얻었다고 생각한 아이는 그런 행동을 계속하는 수가 있습니다. 그러므로 부모는 아이가 그런 행동을 하게 된 원인을 잘 알아야 합니다.
· 아이는 기본적으로 부모로부터 인정과 칭찬, 그리고 사랑과 관심을 받고 싶은 욕구를 가지고 있습니다.
아이가 나쁜 행동을 했을 때 그 때마다 꾸짖기보다는 때로는 모르는 척 넘어가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. 대신 좋은 행동을 했을 때는 아낌없이 칭찬을 흠뻑 해 주고 인정해 줍니다.
· 부모들은 아이의 적성이나 특기 등 다양한 장점을 보기보다는 오로지 공부를 얼마만큼 하느냐에 따라 사랑을 분배하기도 합니다.
유아기의 아이까지도 학습지를 통한 글자 공부, 셈하기 등의 결과로 잔소리를 하고, 아이의 성적이 좋으면 세상을 다 얻은 듯한 기쁨으로 안아 주고 뽀뽀해 주고 업어 주는 등 자제력을 잃은 듯한 애정 표현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아이는 이런 부모의 일관성 없는 모습에서 불신과 열등감을 느끼게 됩니다. 모든 아이에게는 저마다 장점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자신감을 키워 주는 것이 반드시 필요합니다.
· 좋은 친구들과 함께 놀 수 있는 기회와 친구를 사귈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 주어야 합니다.
방안에서만 노는 것보다는 또래와의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사회성이 아이의 마음을 평화롭게 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